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장애의 유형별 정의 및 특성]

스터디/사회복지사

by 샤이리 2023. 9. 10. 15:10

본문

728x90
반응형
728x170

[장애의 유형별 정의 및 특성]


장애는 다양한 유형과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는 것은 그들을 지원하고 사회적 포용을 증진하는데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주요한 장애의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신체 장애 (Physical Disabilities)


정의: 신체 장애는 개인의 신체적인 부분, 기관, 또는 시스템의 기능이 손상되거나 제한되어 일상 생활에서 일정한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특성
- 움직임에 제한이 있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 보행 장애, 척수 손상, 근육 이상 등 다양한 유형이 있습니다.
- 보통 보조기구나 장애인 주차공간 등의 지원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지적 장애 (Intellectual Disabilities)


정의: 지적 장애는 개인의 지적 기능이 표준 범위보다 낮거나 손상되어 학습, 이해, 문제 해결 능력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특성
- 학습 어려움, 언어 문제, 기억력 저하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 더 많은 지원과 지침이 필요할 수 있으며, 특별 교육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반응형

[3] 감각 장애 (Sensory Disabilities)


정의: 감각 장애는 개인의 감각 기관, 예를 들어 시각 또는 청각,의 기능이 손상되어 일상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특성
- 시각 장애자는 시력이 부족하거나 없을 수 있으며, 점자, 음성 프로그램 등을 통해 정보를 이해합니다.
- 청각 장애자는 소리를 인식하기 어려워 수화나 청각 보조 기기를 사용합니다.

 


[4] 정신 건강 장애 (Mental Health Disabilities)


정의: 정신 건강 장애는 개인의 정신적인 건강과 정신적인 기능에 영향을 주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특성
- 우울증, 조울증, ADHD, 자폐 스펙트럼 장애 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증상은 다양하며, 적절한 치료와 지원이 필요합니다.

 

300x250

[5] 발달 장애 (Developmental Disabilities)


정의: 발달 장애는 개인의 두뇌 또는 중추 신경계의 발달에 이상이 있어 일상 활동 및 기능에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특성
- 자폐 스펙트럼 장애, 뇌성 마비, 뇌 손상 등이 포함됩니다.
- 발달 단계에 따라 지원이 필요하며, 특별 교육과 물리 치료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6]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 (Communication Disabilities)


정의: 언어 및 의사소통 장애는 언어 이해 또는 표현, 음성 발음, 말하기, 듣기 등에 문제가 있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특성
- 언어 이해 또는 발음 문제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 수화 언어, 보조 기기 또는 언어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장애 유형과 특성을 이해하고 존중함으로써, 우리 사회는 더 포용적이고 접근 가능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으며, 모든 개인이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는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