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학자 및 발달배경]
정신역동적 가족치료는 가족 시스템의 내적 동기와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접근 방식으로, 가족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과 감정적 관계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 접근 방식은 가족 치료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개발하고 발전시킨 학자들과 그 발달배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발달배경
정신역동적 가족치료는 정신 분석학과 가족 시스템 이론을 결합한 접근 방식으로,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감정과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음과 같은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이각(Gregory Bateson): 1950년대, 사이각은 가족 시스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통해 가족의 양동성 및 상호의존성을 강조했습니다. 그는 "바라쿠다의 덩어리"와 같은 개념을 도입하여 가족 내 감정적 변화와 상호작용을 설명하였습니다.
2. 잭슨 및 허클리(Jay Haley and Don Jackson): 1960년대, 잭슨과 허클리는 가족 역학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특히, 부모와 자녀 간의 갈등과 권한 문제를 탐구했으며, 짧은 기간의 집중적 가족치료 방법을 개발하였습니다.
3. 버지니아 삿키(Virginia Satir): 1970년대, 삿키는 가족 시스템 내의 감정적 표현과 의사소통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녀는 가족 구성원들이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해결하는 방법을 가르쳤으며, "온가족치료"를 개발하였습니다.
4. 슬릭(Jay Haley): 슬릭은 "짧은 치료"를 강조하며 가족 구성원들의 변화와 관계 개선을 빠르게 이끌어내는 데 집중했습니다. 그는 가족 시스템에서의 권한과 제어 문제에 관한 연구를 통해 가족치료에 새로운 시선을 제시하였습니다.
[2]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핵심 원칙
1. 감정 표현과 의사소통 강화: 가족 구성원들은 자신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공감을 통해 서로의 감정을 이해하며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을 받습니다.
2. 상호의존성과 패턴 인식: 가족 구성원들은 상호의존성과 관계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부정적인 사이클을 파악하고 변경하는 방법을 배웁니다.
3. 단기 집중치료: 정신역동적 가족치료는 짧은 기간 동안 집중적으로 치료가 이루어지는데, 가족 구성원들은 빠르게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4. 가족 구성원의 자기존중감 강화: 가족치료는 각 구성원의 자기존중감을 존중하고 강화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정신역동적 가족치료는 가족 시스템의 내적 동기와 관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었습니다. 이 접근 방식은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감정과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개선하는 데 유용하며, 가족의 건강하고 안정적인 발전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터디 > 사회복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2) | 2023.10.04 |
---|---|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발달이론 및 인간관] (3) | 2023.10.04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기본전제와 적용] (2) | 2023.10.04 |
[가족상담자의 역할과 가족치료의 방향] (2) | 2023.10.04 |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의 정의와 필요성] (2) | 2023.10.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