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편] ETF 수익률 추적 & 리밸런싱 방법 – 투자 성장시키기
ETF를 매달 사는 건 좋은데…
“내가 잘 하고 있는 걸까?”
“어떤 ETF 비중을 늘리거나 줄여야 할까?”
이럴 때 필요한 개념이 바로 ‘수익률 추적’과 ‘리밸런싱’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초보자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 수익률 확인 방법
✔️ 리밸런싱의 개념
✔️ 간단한 실천법까지
한 눈에 정리해볼게요!
✅ 수익률 추적, 왜 필요할까?
매달 투자만 하고 내 자산이 얼마나 자라고 있는지 모른다면?
계획 없이 운동하는 것과 같아요.
수익률 추적은 투자 건강검진!
내가 어떤 ETF에서 손실/수익이 나는지 알아야
다음 행동(유지/매도/추가매수)을 결정할 수 있어요.
📈 수익률 확인 방법 (3가지)
- 증권사 앱 내 수익률 확인
대부분 앱(삼성증권, 미래에셋 등)에서 보유 ETF별 수익률 제공 - ETF별 기준가 확인
네이버 금융 or 키움증권 HTS에서 기준가/전일 대비 수익률 확인 - 구글 스프레드시트 수익률 정리
직접 내 매수단가, 보유수량, 현재가 입력해서 자동 계산 가능
💡 TIP: 간단하게는 매달 스샷 찍어두는 것도 좋아요.
🔄 리밸런싱이란?
리밸런싱은 포트폴리오 내 자산 비중을 재조정하는 작업이에요.
예시:
- 처음에 5:3:2로 나눴던 ETF가
- 시간이 지나면서 7:2:1처럼 불균형해질 수 있어요.
- → 리밸런싱은 다시 목표 비중으로 조정하는 것!
📌 보통 3~6개월 또는 1년에 한 번 정도 점검하면 충분해요.
📊 간단한 리밸런싱 예시
ETF | 목표 비중 | 현재 비중 | 조정 방법 |
---|---|---|---|
TIGER 미국S&P500 | 50% | 70% | 매수 중단 or 일부 매도 |
KODEX 200 | 30% | 20% | 추가 매수 |
KODEX 고배당 | 20% | 10% | 추가 매수 |
👉 이렇게 조정해주면 포트폴리오가 다시 균형을 찾습니다.
💡 리밸런싱 시 주의할 점
- ✅ 너무 자주 하지 않기 (수수료 발생 or 과민반응 방지)
- ✅ 시장 예측보다는 비중 유지만 목표로!
- ✅ 리밸런싱 후 기록 남기기 (노트, 스프레드시트 등)
✍️ 마무리: “투자는 기록이고 점검이다”
ETF 투자는 단순히 매수하는 걸로 끝나지 않아요.
수익률을 확인하고, 내 자산을 정리하는 루틴이 함께할 때
비로소 투자가 ‘성장’으로 이어집니다.
오늘 딱 10분만 시간을 내서, 지금 보유한 ETF 수익률과 비중을 한 번 정리해보세요!
성공하는 투자자의 첫걸음은 ‘기록’입니다 🧾
📎 ETF 소액투자 시리즈 전체 보기
'스터디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편] 짐 싸기 요령과 공간 절약 포장 꿀팁 (0) | 2025.04.20 |
---|---|
[1편] 이사 전 필수 체크리스트 – 날짜부터 짐 정리까지 (0) | 2025.04.20 |
[4편] ETF 자동매수 설정법 – 진짜 편해요! (0) | 2025.04.13 |
[3편] 추천 ETF 상세 분석 – 입문자에게 딱 맞는 TOP 3 (0) | 2025.04.13 |
[2편] 월 10만 원 ETF 투자 실전편 – 어떤 ETF부터 살까? (0) | 2025.04.1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