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편] 간 수치 이상? ALT, AST, γ-GTP 정확히 해석하는 법
피 검사 결과지 속 ‘간 기능’ 수치, 정말 위험한 걸까?
건강검진을 받고 결과지를 확인하면 꽤 자주 마주하게 되는 것이 바로 간 수치의 이상 판정(H)입니다.
특히 ALT, AST, γ-GTP 같은 생소한 이름의 수치 옆에 ‘H’가 찍혀 있으면, 누구든 놀랄 수밖에 없죠.
“이거 간이 안 좋은 건가요?”
“간염인가요? 아니면 술 때문인가요?”
이번 글에서는 ALT, AST, γ-GTP 수치의 정확한 의미와 해석법을 통해 간 수치가 높게 나왔을 때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 ALT(AST), AST(GOT), γ-GTP란?
✅ ALT (또는 GPT)
- 참고치: 0~41 U/L
- 의미: 간세포에서 나오는 효소로, 간에 염증이나 손상이 있을 때 혈액으로 흘러나옵니다.
- 수치 상승 원인: 바이러스성 간염, 지방간, 음주, 과로, 특정 약물 복용
✅ AST (또는 GOT)
- 참고치 : 0~40 U/L
- 의미: 간뿐 아니라 심장, 근육 등 다양한 조직에 존재하는 효소
- 주의: ALT보다 AST가 더 높을 경우 심장질환, 근육손상도 의심
✅ γ-GTP (감마 지티피)
- 참고치 : 남성 10~70 U/L / 여성 5~40 U/L
- 의미: 간에서 해독작용에 관여하는 효소. 음주와 밀접한 관련
- 수치 상승 원인: 과음, 담즙 정체, 지방간, 약물
📈 간 수치가 높게 나왔을 때,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요?
- 수치가 약간만 높은 경우
최근 음주, 피로, 운동, 해열제 복용 등으로 일시적 상승 가능 → 2~3주 후 재검사 권장 - 수치가 2~3배 이상 높은 경우
간염, 지방간, 간 기능 저하 등 가능성. 초음파 등 추가 검사 필요 - ALT보다 AST가 더 높은 경우
알코올성 간염, 근육 손상, 심장질환 가능성 고려 - γ-GTP만 높고 ALT, AST는 정상일 경우
술을 자주 마시는 경우 자주 나타나며, 음주량 조절로 회복 가능
🔍 이런 경우, 꼭 병원에 방문하세요
- ALT/AST가 정상 수치의 3배 이상인 경우
- 피로, 황달, 복통 등의 증상이 함께 나타나는 경우
- 이상 수치가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경우
- 과거 B형·C형 간염 보균자인 경우
→ 내과 또는 가정의학과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간 수치 낮추는 생활습관 팁
- 음주 줄이기 또는 금주
- 기름진 음식, 가공식품 줄이고 균형 잡힌 식사
- 충분한 수면과 스트레스 관리
- 비타민 B군 섭취, 적절한 유산소 운동
- 불필요한 건강기능식품, 약물 자제
간은 ‘침묵의 장기’라고 불릴 정도로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이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 몸이 보내는 작은 경고 신호일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콜레스테롤 수치 (HDL, LDL, 중성지방) 해석 방법과 고지혈증 예방 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3편 보러가기] 콜레스테롤 수치, 정말 걱정해야 할까?
📚 「피 검사 결과지를 읽는 법」 시리즈 전체 보기
- [1편] 피 검사 결과, 이건 어디서부터 봐야 하나요?
- [2편] 간 수치 이상? ALT, AST, γ-GTP 정확히 해석하는 법 ← 현재 글
- [3편] 콜레스테롤 수치, 정말 걱정해야 할까?
- [4편]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 당뇨를 조심하라는 경고일까?
- [5편] 혈액검사 기본, 백혈구·적혈구 수치로 보는 내 몸 상태
- [6편] 신장 기능, 전해질 수치로 확인하는 내 몸속 밸런스
- [7편] 갑상선과 비타민 수치까지, 추가 검사 항목 제대로 보기
- [8편] 피검사 결과, 어떻게 건강 관리에 활용할까?
🔗 시리즈는 매주 순차적으로 업로드됩니다.
즐겨찾기 또는 구독해 두시면 빠르게 받아보실 수 있어요. 😊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4편]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 당뇨가 걱정된다면 꼭 확인하세요 (0) | 2025.04.15 |
---|---|
[3편] 콜레스테롤 수치, 정말 걱정해야 할까? (0) | 2025.04.15 |
[1편] 피 검사 결과, 이건 어디서부터 봐야 하나요? (0) | 2025.04.15 |
[플렉스 해부학: 우리는 왜 콤플렉스를 가질까?]콤플렉스의 정의/콤플렉스의 기원/자아와 콤플렉스의 상호작용/다양한 콤플렉스 유형/콤플렉스의 이해와 극복/ (19) | 2024.01.07 |
[고산증 (Altitude Sickness)에 대한 이해와 예방법] (24) | 2023.11.2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