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5편] 혈액검사 기본, 백혈구·적혈구 수치로 보는 내 몸 상태

건강관련

by 샤이리 2025. 4. 15. 19:52

본문

728x90
반응형

[5편] 혈액검사 기본, 백혈구·적혈구 수치로 보는 내 몸 상태

피곤한 이유? 혈액 속 숫자가 말해주는 건강 신호

건강검진을 받으면 빠짐없이 포함되는 항목이 있습니다.
바로 혈액 일반 검사 (CBC: Complete Blood Count)입니다.

검사 결과지를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들이 나열되어 있죠.
WBC, RBC, Hb, Hct, Platelet…
이 항목들은 모두 혈액의 구성 상태를 보여주는 수치로,
감염, 염증, 빈혈, 출혈 위험 등 다양한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CBC 수치들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리고 어떤 경우 병원 상담이 필요한지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 CBC 검사란?

CBC(Complete Blood Count, 전혈구 검사)는 혈액 내의 주요 세포 성분을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인 검사입니다.

총 3가지 주요 세포군을 측정합니다:

  • 백혈구 (WBC): 감염과 면역 반응 관련
  • 적혈구 (RBC), 혈색소(Hb), 헤마토크릿(Hct): 산소 운반과 빈혈 관련
  • 혈소판 (Platelet): 지혈과 혈액 응고 기능

 


📊 CBC 주요 항목 해석

✅ 백혈구 (WBC: White Blood Cell)

  • 참고치: 4,000~10,000 /μL
  • 의미: 감염 및 염증에 반응하는 면역세포 수
  • 수치 상승 시: 감염, 염증, 백혈병 등 가능성
  • 수치 감소 시: 바이러스 감염, 면역 저하, 골수 기능 저하

✅ 적혈구 (RBC: Red Blood Cell)

  • 참고치: 남성: 4.5~6.0 / 여성: 4.0~5.5 (x10⁶/μL)
  • 의미: 혈액 내 산소 운반 세포
  • 감소 시: 빈혈, 철분 결핍, 출혈
  • 증가 시: 탈수, 고산지 생활, 적혈구 증가증

✅ 헤모글로빈 (Hb)

  • 참고치: 남성: 13~17 g/dL / 여성: 12~16 g/dL
  • 의미: 산소를 결합·운반하는 적혈구 내 단백질
  • 낮으면: 철결핍성 빈혈, 만성질환성 빈혈
  • 높으면: 탈수, 폐질환, 흡연

✅ 헤마토크릿 (Hct)

  • 참고치: 남성: 40~54% / 여성: 36~48%
  • 의미: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
  • 낮거나 높을 때: Hb 수치와 함께 빈혈 또는 탈수 해석에 사용

✅ 혈소판 (Platelet)

  • 참고치: 150,000~400,000 /μL
  • 의미: 출혈을 막기 위한 혈액 응고 기능
  • 수치 낮으면: 출혈 위험 증가, 자반증, 혈소판 감소증
  • 수치 높으면: 혈전 위험 증가 (심혈관 질환, 암 등 가능)

 

반응형

📌 이런 증상, CBC 수치와 관련 있을 수 있어요

증상 가능성 있는 수치 변화
잦은 피로, 창백한 얼굴 낮은 Hb, RBC, Hct → 빈혈 가능성
자주 멍이 들거나 코피가 남 낮은 혈소판
잦은 감기, 감염에 자주 걸림 낮은 백혈구 수치
감기 아닌데도 열이 자주 남 높은 백혈구 → 염증 가능성

 

 


🏥 이런 경우 병원에 꼭 방문하세요

  • 백혈구 수치가 11,000 이상 또는 3,500 이하로 지속
  • 헤모글로빈 수치가 남성 12g/dL 이하, 여성 11g/dL 이하
  • 혈소판이 100,000 이하로 떨어진 경우
  • 수치 이상과 함께 만성 피로, 열, 멍, 창백함, 어지럼증 등이 동반될 때

 


✅ 건강을 지키는 기본, 혈액 상태 확인부터

CBC는 가장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건강 신호를 알려줍니다.
수치 하나하나에 지나치게 집착할 필요는 없지만,
이상이 반복되거나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에서 정밀하게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은 혈액에서부터 시작됩니다.
정기적인 혈액검사와 생활습관 개선으로 미리미리 지켜보세요.

 

 


🗂️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신장 기능과 전해질 수치 (나트륨, 칼륨 등)을 통해 몸속 균형 상태를 체크하는 방법을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6편 보러가기] 신장 기능과 전해질 수치, 내 몸속 밸런스를 말하다

 

 


📚 「피 검사 결과지를 읽는 법」 시리즈 전체 보기

  1. [1편] 피 검사 결과, 이건 어디서부터 봐야 하나요?
  2. [2편] 간 수치 이상? ALT, AST, γ-GTP 정확히 해석하는 법
  3. [3편] 콜레스테롤 수치, 정말 걱정해야 할까?
  4. [4편]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 당뇨가 걱정된다면 꼭 확인하세요
  5. [5편] 혈액검사 기본, 백혈구·적혈구 수치로 보는 내 몸 상태 ← 현재 글
  6. [6편] 신장 기능, 전해질 수치로 확인하는 내 몸속 밸런스
  7. [7편] 갑상선과 비타민 수치까지, 추가 검사 항목 제대로 보기
  8. [8편] 피검사 결과, 어떻게 건강 관리에 활용할까?

🔗 시리즈는 매주 순차적으로 발행됩니다. 즐겨찾기 또는 구독해 두시면 편하게 이어보실 수 있어요. 😊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