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편]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 당뇨가 걱정된다면 꼭 확인하세요

건강관련

by 샤이리 2025. 4. 15. 19:40

본문

728x90
반응형

[4편]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 당뇨가 걱정된다면 꼭 확인하세요

공복 혈당부터 HbA1c까지, 숫자 뒤에 숨은 경고 신호들

건강검진 결과지에서 눈에 띄는 항목 중 하나가 바로 혈당입니다.
특히 수치 옆에 H(높음) 표시가 붙어 있다면, 많은 분들이 걱정부터 하게 되죠.

  • 혈당이 110인데 괜찮은 건가요?
  • HbA1c가 6.0 나왔는데 당뇨일까요?
  • 식전·식후 혈당 차이는 왜 나죠?

이번 글에서는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HbA1c)의 의미, 참고치, 당뇨병과의 관련성까지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 혈당이란?

혈당은 혈액 속에 포함된 포도당(Glucose)의 농도를 말합니다.
포도당은 우리 몸의 주된 에너지원이지만, 지속적으로 높으면 혈관과 장기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 피검사에서 확인하는 혈당 관련 항목

✅ 공복 혈당 (Fasting Glucose)

  • 참고치: 70~99 mg/dL
  • 검사 시점: 8시간 이상 금식 후 측정
  • 해석:
    100~125 mg/dL: 공복혈당장애 (당뇨 전 단계)
    126 mg/dL 이상: 당뇨병 의심

⚠️ 단 1회 검사로 당뇨병을 확진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2회 이상 검사 또는 HbA1c 등 보조 지표와 함께 판단합니다.

✅ 식후 혈당 (Postprandial Glucose)

  • 측정 기준: 식사 시작 2시간 후
  • 참고치: 140 mg/dL 이하
  • 해석:
    140~199 mg/dL: 내당능 장애 가능성
    200 mg/dL 이상: 당뇨병 가능성

✅ 당화혈색소 (HbA1c)

  • 참고치: 4.0~5.6%
  • 의미: 최근 2~3개월간 평균 혈당 수치를 반영
  • 해석:
    5.7~6.4%: 당뇨병 전단계
    6.5% 이상: 당뇨병 진단 가능

✔ HbA1c는 일시적인 혈당 변화보다 장기적인 혈당 관리 상태를 더 정확히 반영합니다.

 

 


📌 혈당 수치가 높다고 모두 당뇨는 아닙니다

혈당은 스트레스, 수면 부족, 최근 식사, 운동, 약물 복용 등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따라서 수치가 다소 높게 나왔다고 해서 즉시 당뇨병으로 단정짓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혈당이 꾸준히 높게 나온다면 생활습관 개선과 정기적 추적검사가 꼭 필요합니다.

 

 

반응형

🏥 이런 경우 반드시 병원 상담이 필요합니다

  • 공복 혈당이 126 mg/dL 이상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 당화혈색소(HbA1c)가 6.5% 이상인 경우
  • 식후 혈당이 200 mg/dL 이상으로 반복 측정되는 경우
  •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비만이 동반된 경우

 


🍽️ 혈당을 낮추는 생활 습관

1. 식습관 개선

  • 정제 탄수화물 줄이기 (흰쌀밥, 밀가루 음식 등)
  • GI(혈당지수) 낮은 식품 위주 식사
  • 과일은 한 번에 소량씩, 생과일 형태로 섭취
  • 식사량은 일정하게, 간식은 줄이기

2. 규칙적인 운동

  • 주 3~5회, 30분 이상 걷기·자전거·수영 등 유산소 운동
  • 근력 운동 병행 시 혈당 개선 효과 상승

3. 체중 관리

  • 허리둘레와 체지방률 줄이기 → 인슐린 저항성 감소
  • 5~10%의 체중 감량만으로도 혈당 조절에 큰 도움

 


💡 혈당 수치, 이렇게 확인하세요

항목 참고치 당뇨 전단계 당뇨병 진단 기준
공복 혈당 70~99 mg/dL 100~125 126 이상
식후 2시간 혈당 140 이하 140~199 200 이상
당화혈색소 (HbA1c) 4.0~5.6% 5.7~6.4% 6.5% 이상

 

 


🗂️ 다음 글 예고

다음 편에서는 혈액검사(CBC)에서 볼 수 있는 백혈구·적혈구·혈소판 수치를 해석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5편 보러가기] 피곤한 이유? 혈액검사 수치로 알 수 있습니다

 

 


📚 「피 검사 결과지를 읽는 법」 시리즈 전체 보기

  1. [1편] 피 검사 결과, 이건 어디서부터 봐야 하나요?
  2. [2편] 간 수치 이상? ALT, AST, γ-GTP 정확히 해석하는 법
  3. [3편] 콜레스테롤 수치, 정말 걱정해야 할까?
  4. [4편] 혈당 수치와 당화혈색소, 당뇨가 걱정된다면 꼭 확인하세요 ← 현재 글
  5. [5편] 혈액검사 기본, 백혈구·적혈구 수치로 보는 내 몸 상태
  6. [6편] 신장 기능, 전해질 수치로 확인하는 내 몸속 밸런스
  7. [7편] 갑상선과 비타민 수치까지, 추가 검사 항목 제대로 보기
  8. [8편] 피검사 결과, 어떻게 건강 관리에 활용할까?

🔗 시리즈는 매주 순차적으로 발행됩니다. 즐겨찾기 또는 구독해 두시면 편하게 이어보실 수 있어요. 😊

 

 

728x90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